rc카 잡지를 보다가 브러시리스모터 성능향상법이있어서 회원님들께 도움이될까봐 올립니다
이걸 다 타자로 칠려니까 일단 답답하네요 ㅋㅋㅋㅋ
1.타이밍 조절
브러시모터와 마찬가지로 브러시리스모터도 일부는 타이밍을 조절할수있다(브러시모터만큼 효과가 크지는 않지만) 센서모터의 경우 캔 뒷면에 타이밍 표시가 있다 엔트벨 나사(납떔 탭이있는쪽) 3개를 푼 다음 캔뒷면을 돌리면 타이밍을 조정할수있다 조정 범위는 아주 작아서 모터에 따라 2~5mm정도다 브러시리스모터에서는 타이밍을 바꾸면 캔 안에 들은 회전자센서의 위치가 달라진다 그렇게 되면 모터rpm영역이 파워밴드에서 오르내린다(로엔드와 톱엔드가 더낮아지거나 높아지지않는다)노박 일렉트로닉스 측에 따르면 노박드라이버들은 타이밍 조정을 이용하여 섬세한 튜닝을 한다고한다 최종 드라이브비를 맞출떄,피니언기어가 두 수 사이에 오는 경우 타이밍을 조정하여 기어비롸 똑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다 예를 들어 31t와 32t 사이의 피니언 기어가 필요할떄 그런 기어는 없으므로 타이밍으로 조절한다 센서모터의 경우 모터 타이밍은 파워밴드에서 한 지점에 고정되게된다 캔을 0도에 맞추어 높으면 트러거를 약하게 켜든,험하게 다루든 항상 0도에 있게된다 선서모터는 캔 안에 모터가 있어서 물리적으로 타이밍을 바꿀 경우 센서 위치가 회전자쪽으로 움직인다 한편 센서가 없는 모터는 온전히 esc를 통해 회전자 위리를 감지한다 이모터에서는 타이밍이라는 말이 좀 애매한데 센서가 없는 브러시리스모터의 경우 모터타이밍 조정이란 물리적인 조정이 아니라 esc의 프로그래밍 설절을 달리하는것이기 떄문이다 브러시 모터의 경우 타이밍을 달리하면 토크 줄력이 달라지지만 브러시리스모터는 그렇지 않다 센서 브러시리스모터나 센서없는 브러시리스모커나 실제 출력은 모터에 흐르는 전뉴의 양으로 제한되기 떄문에 코느는 거의 무한대라고 할수있다 캐슬 크리에이션스와 테킨의 레드라인 같은 센서 없는 브러시리스모터들은 모터의 상황이 어떻든 오로지 esc를 통해 튜닝을 하게 되어있다 캐슬 크리에이션스 측은 센서없는 브러시리스모터의 경우 모터의 타이밍이 역동적이라고 설명한다 맘바 맥그 esc의 경우 기계적으로 타이밍을 세팅하는 것과 달리 회전자rpm과 부하같은 여러가지 변수들을 계속 감시하여 파워 출력을 최대화한다 팀 테킨의 경우 그들의 r1/레드라인 시스템 또한 마찬가지라고 이야기한다 모터가 작동하는 동안 모터 안에 장착된 센서가 아니라 esc가 여러 변수들을 감지하고 쉴 새 없이 조정한다
2.회전자 크기 뉴팅
브러시모터에서는 전기자를 바꿈으로써 턴수를 바꾸어 토크와 파워 출력을 달리할수있다 브러시리스모터에서도 똑같은 방법이 가능하다 단 브러시리스에서는 전기자대신 회전자를 바꾸어야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회전자와 캔 안쪽 와인팅 사이의 에어갭을 달리해 주어햐한다 회전자 직경이 큰것으로 바꾸면(회전자가 캔 와인딩에 가까워진다)토크는 높아지고 전압은 낮아진다 이점을 염두에 두고 회전자 크기를 달리하면 센서 모터에서 큰효과를 볼수있다 센서 없는 모터의 경우 파워밴드를 통해 타이밍을 달리하수있다
3.esc설정
이 조치는 브러시리스모터와 상관이있는 것이 아니라 모터를 조절하는 esc와 상관이있다 대부분의 브러시리스 esc에는 성정할떄 프로파일이나 부가 세팅이 기능이있다 조정 방법은 제품에 따라 다르므로 메뉴얼을 참고하여 브러시리스 esc에서 특별한 점이있는지 확인한다 esc설정을 어떻게하느냐에 따라 주행을 성공적으로 할수도 망칠수도있다 전류 한계를 너무 높이 설절했을 경우 휠 회전이 높아져 랩타임이 길어진다 어떤 esc는 조정 기능이 아주 적은 반면(특히 센서가 없는것)조정의 폭이 넓은것도있다(개인pc를 통해서만 조정이 가능한것도있다)본인의 esc로 조정할수있게는것이 어떤것인지 살펴보고 그런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오록한다 그렇게하면 전원을 켜고 달리기만하는 사람들보다 브러시리스 모터에서 더 많은 것을 뽑아낼수있다
4.브러시리스모터 관리
브러시리스모터를 튜닝할떄 고려해야할것이 효율성이다 브러시리스모터는 마찰이 일어날일이 없지만(브러시모터의 경우 스프링 달린 정류자로 브러시가 눌려 들어가는 일이 발생한다)위험 요소는 있다 일반센서모터의 경우 정기적으로 관리를 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한다
가)분해가 가능한모터(주로센서캔)를 분해할떄는 적당한 스크루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앤드벨프런트(샤프트쪽)를 연다 엔드벨부분에는 가운데 베어링이 하나 들어있다 타이밍 아래있는 나사를 풀기 전에 타이밍에 유의한다 끼움쇠가 있을 경우 그것에도 유의하고 베어링은 모터스프레이를 뿌려 닦아준다 베어링을 말린 다음 좋은 베어링 오일을 쳐준다 한방울이면 충분하고도 남는다
나)다음은 캔을 분리하는 작업이다 우선 회전자를 떼어낸다 브러시모터에서 정류자를 분해할떄와 비슷하게 자기장 때문에 회전자가 캔에서 잘 안 떨어진다 종이나 얇은 카드로 튜브를 만들어 와인딩과 회전자 사이에 튜브를 밀어 넣는다 종이 튜브를 끼운 다음 회전자를 천천히 꺼낸다 종이 튜브가 와인딩과 회전자표면을 보호하여 흠이나 상처가 나지 않는다 회전자 샾트에 끼움쇠가 있는지 유의한다
다)회전사를 꺼낸 다음 빳빳한 솔이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캔안에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닦아낸다 주의할 것은 모터 스프레이나 니트로 클리너같은 화학약품은 쓰지 않아야한다는것이다 회전자와 프런트 엔드벨도 솔로 닦아준다
라)리어 베어링에서는 리어 커버를 고정시키는 나사를 푼다 커버를 열고 나면 리어볼베어링이 나온다 헥스런치끝으로 리어베어링이 아주 꽉 쪼여있는 경우도있으므로 유의한다 여기에서도 끼움쇠가있을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그 다음 2단계에서 활용한 종이튜브끼우기를 이용하여 회전자를 다시 캔에 끼운다 나머지 단계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청소할때 하는것을 때 하는것을 거꾸로 하면된다 캐슬크리에이션스에서 나온 센서없는 모터같은 경우는 완전히 봉합되어 캔이나 회전자 샤프트구멍에 먼지가 끼지 않을뿐 아니라 관리도 필요없다